오늘 visual studio code를 ssh로 도커 컨테이너에 접속하려 했더니 이런 외계어가 들어있는.. 에러가 떴다. "dev container attach resulted in an error code 255" "Shell server terminated (code: 255, signal: null) XSL ���� �Ǵ� ���� �̸��� �߸��Ǿ����ϴ�" 구글링을 통해서 여러 답을 봤는데, 신기한 점은 이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한국인들이 많았다는것! 아마도 한국어랑 영어 인코딩 파일에 관련된 문제가 아니였을까? 싶다. 해결방법은 아래와 같다. %WINDIR%\System32\wbem\en-us\ %WINDIR%\System32\wbem\ko-KR\ 중 한쪽에만 "csv"파일이 들어있을 ..
어쩌다가 보게된 코드들인데, 사용해보니 사용가능하길래 공유합니다! TOP selected products (인기제품들) 리스트 제품들에 한해 사용가능합니다. (링크 아래에 리스트가 나옴) 근데 평소에 관심있었던 상품들 위주로 나오는 것 같아요, 알고리즘인가 이것도...? =.= 아래 쪽에 보면 south korea도 적혀 있어서 사용가능한 코드들입니다! - 얼마 이상 구매해야 사용할 수 있는지 쿠폰들 옆에 적혀있습니다. - 해당 링크에 아래쪽에 보이는 물건들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카테고리 물건 합으로 쿠폰 기준 적용됨) - 쿠폰이 다 소진되면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합니다. 1월 14일 기준 (업데이트) JANIC6 - 모두 소진됨 JANIC9, JANIC14, JANIC24 - 사용가능 h..

와 진짜 이거 해결할라고..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지웠다가 설치했다가 more power tool 건들여 봤다가 뭐 cpu 우선순위도 바꿔보고 별 난리를 쳐도!!! 안되던게!! 오늘 인터넷에서 글하나 보고 해결했습니다 바로 이놈이 범인!!!! 바로 서비스로 가셔서 cFosSpeedS 있는지 확인 부터 하시고 중지 시키시고, 시작 유형도 시작 안함으로 바꾸시고 실행 파일 경로 (윗 사진 참조)에 가셔서 파일까지 지워버리세요! 와.. 드디어 해결됬네요 이게.. 정보주신 인터넷 여러분 정말 감사함다.. 한분이라도 더 구출하기위해서 글 작성하고 갑니다요

배틀그라운드 로비 로딩이 너무 느려서.. hdd에서 ssd로 옮기려고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HDD에서 지우고 SSD에다가 다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해야하는 것이 아니고, 스팀 자체에서 로컬파일을 옮겨주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발견.. 나는 카배도 스팀 배그에다가 붙여서 사용하기 때문에 스팀배그 파일을 카배에서 사용하기에, 카배도 자연스럽게 로딩이 빨라졌다. 방법은 1. 스팀 세팅 들어가기 2. 설정 - > 다운로드 -> 콘텐츠 라이브러리에 steam 라이브러리 폴더 클릭 3. 보면 저장공간관리자라고 현재 사용중인 저장장치들이 리스트로 나오게 되는데, 여기에서 SSD 드라이브가 있으면 오케이, 없으면 추가해준다. 4. 원래 배그가 설치되어있는 드라이브를 누르고, 옮길 게임(배그)을 체크하고 이동하기를 눌..